치아교정은 언제부터 가능한지 등
치아교정에 대한 모든 궁금증에 대해 설명해드릴게요~
Q1. 부정교합은 유전인가요?
A: 부모가 선천적으로 영구치가 없거나 치아나 턱의 형태가 이상하였다면
그 자녀중에 부모처럼 닮는 경우가 많습니다.
하지만 손가락을 빨거나 혀를 내미는 등 나쁜습관으로 인해
유치열의 관리를 잘 못해 유치가 일찍 빠지거나 이비인후과 질환 등의
환경적은 원인에 의해서 부정교합이 되기도 합니다.
Q2. 교정치료는 언제 받아야 하나요?
A: 치아교정은 어린이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어느 연령에서나 가능하며
턱 교정치료는 성장 중인 어린이만 가능합니다.
치아교정은 치아를 싸고 있는 잇몸과 치조골이 양호하다면
5,60대 이상도 얼마든지 치료가 가능합니다.
Q3. 교정장치의 종류는?
A: 영구치 각 치아에 접착시키는 고정식 교정장치인 브랔켓을
어떤 재료로 만들었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.
가장 많이 사용하는 금속 교정장치, 치아와 같은 색으로 만든 세라믹이나 레진,
치아의 안쪽에 붙이는 설측 교정장치등이 있습니다.
* 치아에 교정장치인 브라켓을 부착하여 철사, 고무줄 등을 이용하여
치아를 움직이는 장치와 환자 스스로 입안에 넣었다뺏다하는 가철식 장치가 있습니다.
Q4. 교정치료 기간은 얼마나 걸리나요?
A: 부정교합의 심한 정도에 따라 치료기간은 다르지만
영구치열에서 치아교정을 위하여 고정식 교정장치를 한 경우
일반적으로 2년전.후 소요되며 발치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*1차교정은 1년이내의 치료기간이 필요합니다.
Q5. 교정치료를 하려면 꼭 발치를 해야하나요?
A: 입이 많이 튀어나온 뻐드렁니나 덧니가 심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작은어금니 4개를 빼고,
뺀 자리로 돌출된 앞니를 뒤로 이동시키거나 덧니를 바른 위치로 이동시킵니다.
치아를 뒤로 이동시키거나 이 틀을 확장해 필요한 공간을 만들 수 있다면
치아를 빼지 않고도 가능하여, 환자의 상태에 따라 결정됩니다.
Q6. 교정치료를 하면 많이 아픈가요?
A: 입 안에 장치가 들어가면 불편하고, 고정식 장치의 브라켓이
혀와 볼에 닿으면 입 안이 허는 증상이 나타나 1~2주는 평상시처럼 식사하기 어렵습니다.
어린이들은 1주 전.후면 일반적으로 장치에 적응하지만
성인은 적응 기간이 더 길 수 있습니다. 교정치료를 받은 날이나
다음 날에는 모든 치아들이 뻐근하거나 약간 아플 수 있으며 3~4일 후면 괜찮아집니다.
Q7. 교정치료를 하면 잇몸이 약해지나요?
A: 교정치료 중에는 치아에 힘이 가해지므로 치근에 영향을 줄 수 있으나
그보다는 교정장치떄문에 칫솔질을 제대로 할 수 없어
잇몸이 붓거나 피가 나는 염증이 생겨 치조골이 약하게 되는 것이 문제입니다.
교정치료중에는 식사 후 반드시 칫솔질 하는 구강위생에 더 신경을 써야합니다.
'stm교정이야기 > stm치과상식,질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TM. 잘못된 습관에서 오는 턱관절 질환 (0) | 2018.06.20 |
---|---|
STM / 잇몸질환의 원인과 증상 (0) | 2018.05.29 |
교정치료 시 이를 꼭 빼야하나요? (0) | 2018.04.10 |
STM / 유지장치 관리는 어떻게 하나요? (0) | 2017.06.26 |
STM / 치아교정 꼭 해야하나요? (0) | 2017.04.08 |